3·15 부정선거


1960년 3월 15일 자유당정부에 의해 부정으로 실시된 제4대 정·부통령 선거.

4·19혁명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다. 자유당정권은 독재정치·정경유착·무력통일정책 등에 의해 집권 내내 국민의 능동적 지지를 얻지 못한 정권이었다. 단지 불법적인 헌법개정과 부정한 선거방식 등으로 국민의 위장된 동의에 근거하고 있었다. 자유당정권은 이미 1952년 발췌개헌, 1954년 사사오입개헌 등으로 1인장기집권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자유당조직, 경찰 및 관료조직, 반공단체 등을 동원한 이른바 '준봉(遵奉) 선거'를 통해 권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권 말기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정치조작도 거듭된 실정(失政)에 의해 국민의 지지를 거의 상실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1960년 선거에 승리하는 데 역부족이었다. 더욱이 자유당정권은 당시 84세인 이승만 대통령의 유고시(有故時), 그 계승권이 있는 부통령에 자유당의 제2인자인 이기붕을 무조건 당선시켜야 할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유당정권은 종래의 정치조작보다 더욱 노골적인 선거부정을 획책할 수밖에 없었다.

자유당정권은 산업금융채권 발행 및 은행융자에 따르는 뇌물과 대기업으로부터의 강제헌금 등으로 선거자금을 조달하는 한편, 선거관리부서인 내무부를 통해 첫째, 4할 사전투표, 둘째, 3인조 또는 5인조 공개투표, 셋째, 완장부대 활용, 넷째, 야당참관인 축출 등 온갖 부정선거 방법을 준비했다. 이러한 사전음모에 따라서 선거는 매수·폭력 및 각종 부정개표 방법이 총동원되어 실시되었다. 그결과 자유당 후보의 득표율이 95~99%에 육박할 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당황한 자유당정권은 득표율을 하향조정하여 이승만 963만 3,376표(85%), 이기붕 833만 7,059표(73%)를 득표한 것으로 발표했다. 이러한 공개적인 부정행위는 곧바로 국민의 필사적인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마산을 시발로 전국에서 부정선거를 규탄하고 독재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전개되었다.


 "3·15부정선거"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http://members.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1s2041a>